역사 | 구독자 11명 | 역사

교생 실습 당시에 있었던 일을 기억하며 써 보는, 역사에 대한 저의 생각

제가 재작년에 교생실습을 갔을 때의 일입니다. 당시엔 코로나-19가 일파만파 퍼진 상황의 여파로 제대로 된 교생 실습이 불가능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학생들에게 보여줄 조회 영상을 만들고, 그 영상을 본 학생들에게 구글 플랫폼으로 질문을 받은 뒤 그에 대한 피드백을 주는 형식으로 학생들을 지도했습니다. 그때 학생들이 저에게 던진 질문 중 하나가 이랬습니다. "역사는 어려운 과목인데, 어떻게 하면 쉽게 공부할 수 있나요?"


그래서 저는 그 질문에 다음과 같은 식으로 답변해주었습니다(피드백 내용을 저장해놓은 기록이 안 남아 있어서 핵심만 기억해냈습니다).

"역사는 특별한 인물들에 의해서만 만들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여러분의 조부모와 부모, 그리고 여러분이 살아가는 시간도 역사가 될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를 예시로 들겠습니다. 저는 조부모님께서 한국전쟁 당시에 겪었던 사건들과 부모님께서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던 일화와 같은 이야기를 들으며 그런 일들을 실제 역사와 연관지어 생각했습니다. 즉, 역사는 우리와 동떨어져 있는 것이 전혀 아니란 거죠. 여러분의 가족과 여러분도 역사를 만들어나갈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살아가는 시간도 엄연한 역사의 일부입니다. 그래서 저는 역사를 그렇게 어렵게 생각하실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먼저 여러분의 가족들이 살아온 세월에 대해 물어보세요. 그리고 그 세월이 교과서에 나온 역사적 사건과 어떤 연관관계에 있는지 한번 생각해보세요. 그렇게 역사를 인식한다면, 조금이라도 더 쉽게 역사를 공부할 수 있다고 여겨집니다."


그렇습니다. 저는 역사란 분야가 여타 인문학처럼 본질적으로 '인간' 그 자체를 다루는 학문이라 생각합니다. 어떤 사건이 언제 벌어졌는가에 대해 암기하고 연구하는 것도 중요합니다만, 더 중요한 것은 인류가 '어떻게 살아왔고, 무엇을 생각하는지' 등을 탐구하는 것이라고 보거든요. 문학이 인류의 복잡미묘한 감정을 다루고, 철학이 인류의 본질과 인류가 지향해야 하는 가치와 윤리 등을 궁구한다면 역사는 인류의 본질이 시대와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된 양태를 공부하는 학문인 거죠. 그리고 상기한 글에서도 알 수 있겠지만, 소수의 사람만 역사 속 인물이 될 수 있는 게 아니라, 우리 모두가 역사 속 인물이 될 수 있습니다. 알게 모르게 우리는 역사 속 여러 사건에 연관되어 있고, 우리가 쌓아올린 기록과 시간 등이 점점 축적되어 후대인들에겐 역사가 될 수 있는 거죠.


이렇게 생각하는 제 입장에서 역사에 딱히 관심이 없는 사람들에게 역사가 너무 어렵거나 고루하게 받아들여지는 현실이 씁쓸합니다. 특정한 사건이 언제 일어났는지 등을 무작정 암기해야만 하는 제도권 교육의 폐해, 그리고 인문학은 무조건 사변적이고 난해한 학문일 것이라는 편견 등이 섞여서 이런 현상이 나타난 것 같거든요.

로그인하고 댓글 작성하기
루리웹 오른쪽
루리웹 유머
루리웹 뉴스 베스트
PC/온라인
비디오/콘솔
모바일

루리웹 유저정보 베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