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게시판 | 구독자 9명 | 보드카🍸

최초의 미터협약 17가맹국중 하나인 미국은 왜 미터법을 안쓸까?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alternative_history&no=945105


영국 혐성이 날조가 아닌 결정적 증거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alternative_history&no=438317

미국이 십진법 도량형 쓸뻔한 얘기


img/23/11/22/18bf6c2c8af3aa4f7.png

조셉 돔비(1742~1794)

토마스 제퍼슨의 지시로 프랑스에서 미터 원기와 킬로그램 원기를 가져오다가 영국 해적놈들에게 피랍,
이후 영국령 카리브 식민지인 몬세라트에서 사망

현재 진행형으로 제1세계에 소속된 수많은 사람들, 특히 엔지니어들에게 고통을 주고 있음.

반박시 미터법 압수


농담 아닌게 원래 프랑스가 독립 지원해줘서 호감 만빵이어서
미터법 ㄹㅇ 쉽게 받아들일 수도 있었음



자세한건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함



1790년 1월 2일, 워싱턴은 의회에 도량형을 정해야 한다고 촉구했음.

의회는 이 도량형법의 기초를 닦을 자로 당대 석학이었던 토마스 제퍼슨을 선택함


img/23/11/22/18bf6c5a6643aa4f7.jpg




제퍼슨은 심사숙고 끝에 2개 제안을 내놓음

1. 영국 단위체계(야드파운드... 긴 한데 흔히 말하는 Imperial standard 정립 이전,

윈체스터-재무표준이 혼용된 도량형) 살짝 개조해서 쓰자

img/23/11/22/18bf6c862863aa4f7.jpg



2. 완전 십진법으로 새로 만들어서 쓰자

img/23/11/22/18bf6c8a8ea3aa4f7.jpeg



제퍼슨은 윌리엄 웨어링이나 프랑스 과학자들이랑 교류하면서

북위 45도에서 1초 주기 단진자를 길이원형 5배로 잡고 2안을 밀었음

이렇게 계몽시대에 과학적인 합리성을 갖춘 체계는 1790년 7월 13일,

도량형 제안(plan for establishing uniformity in the coinage weights and measures of the US)이란 이름으로 의회에 제시되었고,

워싱턴을 비롯해 알렉산더 해밀턴, 제임스 매디슨, 제임스 먼로 등등이 지지했지만..


기존체계 바꾸기 귀찮다 + 프랑스 따라하기 존심 상한다는 등으 이유로

(참고로 프랑스는 미국 독립전쟁을 지원했다가 왕조가 망했다.)

img/23/11/22/18bf6c964403aa4f7.jpg

당대에 꽤 거물 상인이던 로버트 모리스(독립선언문도 서명함)가 극렬히 반대했고,

-영국 국왕들 발바닥을 빨아재끼고 싶었던....은 아니고 교채비용이 아까웠겠지-


상술했듯 '대서양 건너오던 킬로그램 원기가 해적한테 당해서 가로채이는 등 난항을 겪다가'

1795년 북서 인디언 전쟁이 끝나면서 망해버림


종전 후 새로 얻은 방대한 신영토는 연방정부의 측량이 필수였던 게 문제임.

img/23/11/22/18bf6ca33c63aa4f7.jpg

당시 측량방식은 17세기 영국에서 발명된 건터의 측량사슬(gunter's chain)이란 걸 썼는데,

정부 측량기사들이 아직 현역으로 쓰던걸 합의도 안 된 신규 도량형으로 전량 갈아치울 수는 없는 노릇이었으므로

1796년 3월 의회는 북서영역 토지매매법을 통과시키며 건터의 사슬을 기본 단위로,

즉 구 english unit을 존치하는 걸로 표준 도량형을 매듭지었고

도량형사업은 흐지부지된채 영국 네덜란드꺼 섞어쓰다가 1832년에야 쓰던거 계속 표준화해서 쓰자 정도로 매듭지어짐

그렇게 미국은 도량형 대충 꼴리는 대로 쓰는게 풍조로 자리잡아서

1875년 미터협약에 최초가맹한 17국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미터법의 민간전파에 대실패함

지금도 미국 정부랑 학계에선 SI 씀.. 민간에서 안쓸뿐이지..



그리고 미국 정부랑 학계에서 SI단위계를 쓰는 이유는.....


img/23/11/22/18bf6cd7fad3aa4f7.jpg


지난 1999년 1억2500만 달러(약 1432억 원)를 투입해 미항공우주국(NASA)이

화성으로 보낸 무인 기후궤도탐사선이 화성에 도착한 직후 폭발해 버렸다.

당시 사고는 제작사인 록히드마틴사가 탐사선의 제원을 야드 단위로 작성했으나,

NASA 제트추진 연구소(JPL) 조종팀이 이를 미터 단위로 착각한 탓이었다.
JPL 조종팀은 훨씬 낮은 궤도에 탐사선을 진입시킴으로써 대기권과의 마찰을 견디지 못한 탐사선이 폭발한 것이다.


-중앙일보-

로그인하고 댓글 작성하기
루리웹 오른쪽
루리웹 유머
루리웹 뉴스 베스트
PC/온라인
비디오/콘솔
모바일

루리웹 유저정보 베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