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로마 | 구독자 22명 | 프로코피우스 | Troubadour유스티니아누스 1세

마누일 1세와 십자군 왕들의 관계


img/22/05/23/180eeb5d97256322a.jpeg




Amalric, realising that no military help would be forthcoming from the West, had made a state visit to Constantinople in 1171 and had recognised to Byzantine emperor, Manuel I comnenus, as his overlord in return for his protection.


아모리는 [* 예루살렘 왕, 왕비가 마누일 1세의 조카손녀 마리아 콤니니였다.] 서방으로부터 어떠한 군사적 도움도 오지 않을 것을 인식했고,  그는 1171년에 콘스탄티노플을 국빈 방문했는데, 동로마 황제 마누일 1세 콤니노스에게 그를 보호해줄 대가로서 그를 그의 대군주로 인정하였다.



Baldwin and his advisers were, from the start of his personal rule, planning a full-scale attack on Egypt, the hub of Saladin's power. ... For this he needed naval support and he therefore turned once more to Byzantium for help, seeking to revive the protectorate arranged by King Amalric in 1171. The embassy to Constantinople was led by Prince Reynald. ... William of Tyre describes the outcome of Reynald's embassy as a renewal ‘on almost identical terms between the ... emperor and the lord Baldwin who is now king’ of ‘the agreements which had formerly been entered upon between the lord emperor and the lord king Amalric.’ The agrements covered two areas. The first was a joint attack on Egypt by the Byzantine navy and the Frankish army.


보두앵[* ‘나병왕’ 보두앵 4세, 그의 6촌누나가 마누일의 황후 안티오키아의 마리아]과 그의 보좌관들은 그의 친정 통치 시작부터 살라딘의 힘의 중심지인 이집트에 대한 전면적인 공격을 계획했다. 이를 위해 그는 해군의 지원을 필요로 했고, 따라서 그는 1171년에 (부친) 아모리 왕이 마련한 보호 제도를 되살리기 위해 동로마로 다시 한 번 눈을 돌렸다. 콘스탄티노플을 향한 사절들은 샤티용의 르노가 [* 마누일의 황후 마리아의 의붓아버지] 이끌었다. ... 티레의 기욤은 르노 대사의 임무 결과를 황제(마누일 1)와 현재의 왕인 보두앵 사이에 거의 같은 조건으로 황제와 아모리 왕 사이에 이미 체결되었던 협정을 갱신한 것으로 묘사했다. 이 합의는 두 분야를 포괄했다. 그 중의 첫 번째가 동로마 해군과 십자군의 이집트에 대한 공동 공격이었다.




Bernard Hamilton, 『The Leper King and His Heirs : Baldwin IV and the Crusader Kingdom of Jerusale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2024310


로그인하고 댓글 작성하기
루리웹 오른쪽
루리웹 유머
루리웹 뉴스 베스트
PC/온라인
비디오/콘솔
모바일

루리웹 유저정보 베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