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쓸 수 있다면, 그건 인간을 위한 것이다.
때론, 그게 인간을 위협한다.
"...우린 독립을 위해 싸웠습니다."
"자유를 위해 싸웠고,"
"평등을 위해 싸웠습니다."
"우리가 가장 중요시했던 가치들을 위해 싸웠습니다."
"하지만 우린 더 이상 그러지 않습니다."
"우리들 스스로가..."
"우릴 좀먹고 있습니다."
연방 정부가 비과학적 현상을 공식적으로 인정한지 50년.
이러한 현상이 처음 범죄로 사용된지 100년이 흐른 후.
합중국에서, 마법은 총 다음으로 많은 이들을 죽이고 있었다.
둘의 차이점은 로비스트의 유무였다.
누구도 소수자인 마법 사용자들을 지키려고 하지 않았다.
그건, 다시 사회에 돌아왔다.
"이젠 터번을 쓰고 수염을 길게 기르는 사람보다도..."
"정부가 준 신분증을 가진 사람을 더 무서워합니다."
"누구도 종교를 이유로 박해를 받아선 안 돼죠."
"그건 엄연히 법으로 못 박아뒀어요."
"근데 재능을 이유로 박해를 받고, 그게 법이라뇨."
"이게 당신들의 자유고 평등인가요?"
불만은 치솟는다. 불안은 퍼져간다.
둘은 갈등을 낳는다.
"총보다 우리가 더 위험한 것처럼 여겨요."
"만약 우리가 총을 들고 다니면 그땐 총도 위험하게 여길까요?"
"그건 절대로 아니죠."
"정말 재밌는 건, 일반인은 일반인에게 더 많이 죽어요."
"총은 사람을 죽이지 않는다, 사람이 사람을 죽인다."
"우리도 그래요."
"인정합시다. 통제는 실패했습니다."
"모든 능력자들에게서 꼬리표를 떼어내야합니다."
"사람들을 구분하지 않는 편이 더 안전합니다."
"총을 든 사람들한테도 같은 짓을 할 게 아니라면, 당장 그만둬야할 겁니다."
"자극하지 않는 편이 좋다는 건 동의하지만, 범죄율 0은 달성할 수 없는 목표죠. 벌어지는 일들은 어떡할 겁니까?"
"우린 이 문제를 총기 문제랑 똑같이 다룰 겁니다."
"무슨 의미죠?"
"'총을 든 악당은 총을 든 영웅이 제압한다'고 했죠."
"이런 일을 전담할 능력자들이 있으면 됩니다."
"경찰의 SWAT처럼, 법집행기관의 특수부대를 만들죠."
"이름도 이미 정해놨습니다."
"그래서는... 우리가 손을 든 것처럼 보이는데요."
"우린 손을 들지 않습니다. 그들과의 싸움이 아니니까요."
"그들의 싸움이죠. 자기들 스스로가 증명하기 위한 싸움이요."
"...뭘 증명하나요?"
"다르지 않단 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