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청법 및 문화 검열 글 쓰는 게시판 | 구독자 18명 | Pink Corps

유럽에서 규제하는 사실적 이미지 설명을 위한 현실감 스펙트럼 예시

간단히 4단계로 나눠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1. 카툰, 일본 만화풍 이미지


2. 세미 리얼 이미지


3. 페인터 리얼 이미지


4. 포토 리얼 이미지




4개의 단계 중 보통 3단계에서 4단계 사이부터 규제 가능성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유럽의 가상 창작물 규제 국가 중 현실적 이미지를 규제하는 국가들의 기준 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1. 카툰, 일본 만화풍 이미지


유럽에서 규제하는 사실적 이미지 설명을 위한 현실감 스펙트럼 예시_1.jpg

일본 애니메이션 <빙과>의 한장면



유럽에서 규제하는 사실적 이미지 설명을 위한 현실감 스펙트럼 예시_2.jpg

카툰 애니메이션 <파워퍼프걸>



네. 그냥 보기에도 명백히 비현실적이죠. 스웨덴 대법원이 언급한 비실사 이미지가 바로 이런 느낌입니다. 누가 봐도 규제 대상 밖이죠.





2. 세미 리얼 이미지



유럽에서 규제하는 사실적 이미지 설명을 위한 현실감 스펙트럼 예시_3.jpg

steam 서비스게임 <시크릿 파이>



인체 비율이나 명암 처리를 현실적으로 가져오긴 하지만, 광원·질감이 사진처럼 세밀하지 않고 여전히 만화적 데포르메(deformation, 과장)가 강합니다.


1단계와 마찬가지로 사실적 이미지와 거리가 멀기에 규제 대상으로 보지 않습니다.





3. 페인터 리얼



유럽에서 규제하는 사실적 이미지 설명을 위한 현실감 스펙트럼 예시_4.jpg

Self-Portrait with Two Pupils, Marie Gabrielle Capet (1761–1818) and Marie Marguerite Carraux de Rosemond (1765–1788)




유럽에서 규제하는 사실적 이미지 설명을 위한 현실감 스펙트럼 예시_5.jpg

(제가 ai로 제작한 이미지 입니다.)



광원이나 질감이 어느정도 실제감이 있으나 붓터치의 흔적이 명확히 보이기 때문에 사실적이다 라고 딱 잘라 말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이처럼 실제적인 느낌이 강하지만 붓의 존재감이 강한 이미지를 페인터 리얼로 봅니다. 법해석적으로는 해당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단계입니다.






4. 포토 리얼



유럽에서 규제하는 사실적 이미지 설명을 위한 현실감 스펙트럼 예시_6.jpg

(제가 ai로 생성한 이미지 입니다.)



그냥 보기에도 현실감이 잘느껴지는 이미지 입니다. 굉장히 사실적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보이는 묘사로 해석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집니다.






오늘은 유럽 국가 중 현실적인 이미지를 규제하는 국가들의 기준을 현실성 스펙트럼을 통해 알아봤습니다. 다음에도 참고할만한 정보로 찾아 뵙도록 하겠습니다.



로그인하고 댓글 작성하기
루리웹 오른쪽
루리웹 유머
루리웹 뉴스 베스트
PC/온라인
비디오/콘솔
모바일

루리웹 유저정보 베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