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역사 | 구독자 14명 | 큰읍내 | 흑룡 앙칼라곤

유스티니아누스 1세의 고토 수복 전쟁이 완전히 성공했을 경우의 세계선

정말 오래간만에 대체역사 게시판에 글을 남기네요. 많이 늦긴 했지만 이제 임용고시를 본격적으로 준비해야 해서 게시물을 많이 못 남길 것 같은데, 그 전에 미리(?) 글을 써야 할 것 같습니다. 각설하고,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고토 수복 전쟁을 벌인 것으로 유명하죠. 그런데 서로마 강역 회복이라는 목표의 완전 달성 및 영토 유지를 실패하게 만든 근본적 원인은 역병이었죠. 유스티니아누스 본인도 역병에 걸려 사경을 헤매다 간신히 살았을 정도로 역병의 피해가 심각했습니다. 농사를 지어야 할 사람들이 죽어나갔으니 농산물 수확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부족한 세수를 메우려고 세율이 무거워지고 사람들은 더 고통받는 악순환이 이어졌죠. 이런 점으로 인해 고토 수복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못했고, 후임 황제였던 유스티누스 2세 때부터는 기껏 회복했던 구 서로마 지역이 상실되었습니다. 결국 서로마 지역을 다시는 회복할 수 없었죠.


그런데 만약 역병이 돌지 않아 유스티니아누스가 서로마 강역을 완전히 수복하는 것에 성공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요? 목표를 달성했으니 유스티니아누스 본인의 권위는 상당히 올라갔을 게 자명합니다. 그런데 확장한 영토를 관리하는 것 자체가 엄청나게 까다로웠을 것 같아요. 로마 동서 분열 이전에도 광대해진 영토를 관리하는 일은 역대 황제들과 관리들에게 상당히 까다로운 업무였으니까요. 유스티니아누스 치세 동안에는 서로마 강역을 유지했을 수도 있었을지 몰라도 유스티누스 2세 대부터 서서히 영토를 잃었을 수도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그래도 어느 정도 운이 따라주어서 서로마 강역을 계속 유지했다면, 카롤루스의 '서로마 제국'이나 오토의 신성 로마 제국 등 시쳇말로 '폰로마'가 등장하는 시기가 늦춰졌거나 아예 없었을 것 같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로그인하고 댓글 작성하기
루리웹 오른쪽
루리웹 유머
루리웹 뉴스 베스트
PC/온라인
비디오/콘솔
모바일

루리웹 유저정보 베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