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대비 | 구독자 1명 | 전장을지배하는똥싸개

도구 - 나이프

용도
- 자르기, 끊기
- 구멍 뚫기
- 자기방어
- 지렛대



소재에 따른 분류와 특성
- 탄소강 : 날 유지력이 좋음, 상대적으로 부식에 취약
- 스테인레스강 : 상대적으로 날 유지력이 떨어짐. 수분에 장시간 노출되는 것이 아니라면 거의 녹슬지 않음.



날 두께에 따른 분류와 특징
- 3mm 이하 : 상대적으로 무른 재료에 대한 절삭, 절단이 주목적. 식재료를 다루는 데 적절.
- 3mm 이상 : 다양한 방식의 거친 사용이 가능(목재의 바토닝, 쵸핑 등)



구조에 따른 분류와 특징

픽스드 나이프

- 날을 접을 수 없는 일체형

- 거친 작업에 용이

- 부피가 상대적으로 큼


폴딩 나이프

- 날을 접을 수 있는 접절형.

- 파손 및 부상의 위험이 있으므로 거친 작업에는 적절하지 않음.

- 부피가 작음.


*국내법 상 픽스드 나이프의 경우 세운 날이 14.8센티 이상, 폴딩 나이프의 경우 6센티 이상인 경우 도검류 소지허가가 필요.

단, 멀티툴에 부속된 나이프 등 도구의 성격이 강한 날붙이에는 해당 기준이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보임.(빅토리녹스, 오피넬 등)



날의 모양에 따른 분류와 특징

img/22/03/13/17f7f9ff748552861.jpg

* 사진은 서레이션 날

일반 날

- 날에 특별한 가공이 없는 경우.

- 범용적인 사용.

- 연마가 용이함.


서레이션 날

- 날을 톱니처럼 가공한 경우.

- 일반 날로 자르기에 미끄러운 재료(날이 미끄러질 수 있는 로프 등)를 절삭하는 데에 적절.

- 연마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도구가 필요함.


(픽스드 나이프에서)탱의 종류에 따른 분류와 특징

* 식칼을 기준으로 한 설명이며, 핸들의 재질에 따라 가공법이 달라지지만 큰 틀에서 아래의 이미지로 이해하면 됨.

img/22/03/13/17f7f9524df552861.jpg



날의 연마 방식에 따른 분류와 특징


img/22/03/13/17f7f928f30552861.png




할로우 그라인드

- 재료를 얇게 가공하는 데에 유리함.

- 오랜 시간 사용해도 거의 동일한 날 두께

- 칼등 쪽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기 때문에 거친 사용에는 불리.

- 가죽 벗기기, 음식 다루기에 용이

풀 플랫 그라인드

- 가장 범용적인 용도.

- 다른 연마 형태에 비해 절대적 장점은 없으나 여러 특성을 고루 보유.

- 대부분의 용도에 적절함.(어떤 목적에 특화된 날에 비해 상대적으로 성능이 떨어진다고도 볼 수 있음.)

세이버 그라인드

- 칼등까지 연마된 할로우 그라인드나 풀 플랫 그라인드에 비해 내구성이 좋음.

- 할로우 그라인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날 두께가 가파르게 두꺼워지기 때문에 세밀한 작업이 어려움.

치즐(끌) 그라인드

- 우수한 강도

- 연마하기 쉬움(한쪽 면만 갈면 되기 때문에)

- 다용도 나이프에 흔하게 채택되는 방식은 아님

- 절삭할 때의 일반적인 나이프에 비해 이질감을 느낄 수 있음.

컨벡스 그라인드

- 여러 가지 날 가공방식 중 가장 내구성이 좋음.(날 두께가 가장 두꺼움)

- 주로 전통적인 형태의 도끼에 채택되며, 다용도 나이프에 흔하게 채택되는 방식은 아님.

- 날 세우기는 다소 까다로움(면이 곡선이라 숫돌을 놓고 가는 방식으로는 연마가 어려움.)

스칸디 그라인드

- 내구성이 좋음.

- 연마가 쉬움.(날 면을 숫돌에 밀착시키면 연마 가능)

- 날을 세울 때 강재의 손실이 큼.

- 날 두께가 가파르게 두꺼워지는 만큼 세밀한 작업에는 적절하지 않음.



출처
https://kai-korea-2007.tistory.com/33
https://agrussell.com/knife-articles/blade-grinds

로그인하고 댓글 작성하기
루리웹 오른쪽
루리웹 유머
루리웹 뉴스 베스트
PC/온라인
비디오/콘솔
모바일

루리웹 유저정보 베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