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로마 | 구독자 22명 | 프로코피우스 | Troubadour유스티니아누스 1세

펜타르키에 대해 araboja (5)

5. 예루살렘 총대주교


펜타르키의 말석을 차지하는 예루살렘 총대주교는 예루살렘의 종교적 중요성을 인정받아 펜타르키의 일원으로 인정받은 사례다. 유대교, 이슬람교, 그리고 기독교의 성지인 예루살렘은 예수 그리스도가 고난을 받고 십자가에 달려 죽은 곳이자 부활, 승천을 한 곳이며 예수 승천 후, 그의 12사도가 기도하던 도중 성령의 영감을 받은 오순절의 기적이 일어난 곳이다. 초대 교회 시절 예루살렘은 유대계열 그리스도인의 중심지였으며 따라서 안티오키아를 비롯한 다른 지역의 기독교에 비해 보수적이고 복고적인 성향이 강한 지역이었다. 예루살렘 총대주교는 자신들의 시초를 예수의 형제 야고보로 소개하는데 그는 초대 교회에서 12사도와 맞먹을 정도로 중요한 비중을 지닌 인물로 앞서 서술한 유대계열 그리스도인 공동체의 수장이었으며 보수적인 기독교인들을 대표하는 인물이었다.


그러나 예루살렘은 막대한 종교적 위상에 비해 정치, 경제적으로는 미약한 도시였고 이로 인해 예루살렘은 안티오키아 교회의 가파른 성장, 그리고 예루살렘 자체의 몰락으로 인해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의 관리를 받는 안티오키아 산하 교구로 수백년의 시간을 보내야 했다.


예루살렘 교구는 칼케돈 공의회를 통해 총대주교구로 승격하게 되었다. 콘스탄티노플이 제국의 수도가 되며 정치, 경제적으로 중요한 도시가 되었고 이로 인해 콘스탄티노플 교구를 총대주교구로 승격시킬 수 밖에 없는 상황을 맞이하게 되자 콘스탄티노플을 총대주교구로 승격시킬 겸 성지인 예루살렘 또한 총대주교구로 승격시키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다만 총대주교구로 승격하자마자 로마 다음가는 서열을 보유하고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에게서 트라키아, 아시아, 폰토스 지역을 자신의 관할구역으로 차지하게 된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와 달리 예루살렘 총대주교는 5명의 총대주교 중 말석의 위치에 자리하고 담당 관할구역 또한 팔레스타인 관구 정도만 차지하는 정도에 머물렀다.


그 때문인지는 몰라도 예루살렘 총대주교는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와 달리 제국 동방을 혼란하게 만든 양성론-단성론 논쟁에 휩쓸리지않고 상대적으로 조용히 그 혼란의 시기를 보냈고 이로 인해 앞선 2곳의 총대주교좌처럼 총대주교좌 자체가 분열되는 상황을 맞지는 않았지만 6세기 중반, 유스티니아누스 1세가 예루살렘에 거주하던 아르메니아 기독교인들을 추방하는 과정에서 아르메니아인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이는 7세기 중반, 이슬람이 예루살렘을 점령하는 과정에서 아르메니아 기독교인들이 자체적으로 예루살렘에 총대주교좌를 설치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11세기, 투르크의 발흥과 서방세계의 준동으로 인해 발생한 십자군 전쟁은 예루살렘 총대주교좌를 다시금 뒤흔들었다. 1099년, 1차 십자군이 성지 예루살렘을 점령하며 예루살렘 왕국을 세웠고 로마 교황은 그 자리에 예루살렘 라틴 총대주교좌를 다시 설치하고 이를 자신의 산하에 두었다. 기존의 예루살렘 총대주교좌 자체는 폐지되지는 않았지만 예루살렘 총대주교는 예루살렘 대신 콘스탄티노플에 머물러야 했다. 그리고 이 기묘한 상황은 1187년, 살라흐 앗 딘이 예루살렘을 점령할 때까지 이어졌다.


1187년, 예루살렘이 다시금 이슬람 세력의 수중에 놓이게 되며 교황이 설치한 예루살렘 라틴 총대주교는 예루살렘을 떠나 아크레에 총대주교좌를 설치하게 되었고 예루살렘을 떠나 콘스탄티노플에 머물러야 했던 기존의 예루살렘 총대주교는 다시 예루살렘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이 후, 예루살렘 총대주교는 현재까지 예루살렘에 머무르고 있는 상황이지만 라틴 총대주교는 십자군의 운명을 따라 이리저리 자신의 총대주교좌를 옮기는 경험을 하게 된다.


예루살렘 라틴 총대주교는 1187년부터 1291년까지는 예루살렘 왕국의 수도였던 아크레에 머물렀으며 아크레가 함락당한 뒤로는 키프로스로 총대주교좌를 옮겨 1374년까지 키프로스에 머물렀다가 로마로 다시 총대주교좌를 옮겼다. 로마로 총대주교좌를 옮긴 이래로 1847년까지 예루살렘 라틴 총대주교는 유명무실한 자리에 불과했으나 1847년, 가톨릭이 다시금 예루살렘에 라틴 총대주교좌를 설치하며 예루살렘의 가톨릭 교인들을 관리할 수 있게 만들었다. 그리고 다른 3곳의 라틴 총대주교좌가 1965년에 일괄적으로 폐지된 것에 반해 예루살렘 라틴 총대주교좌는 폐지되지 않았고 오늘날까지 존재하여 예루살렘 내의 가톨릭 교회가 관할하는 교회와 교인을 관리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기존의 예루살렘 총대주교는 정교회 관할 하에 있는 예루살렘 내 교회와 교인을 관리하는 역할을 맡고 있으며 아르메니아 사도교회의 예루살렘 총대주교 또한 아르메니아 사도교회가 관할하는 교회와 교인들을 관리, 감독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그리고 그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예루살렘 성묘교회다.

로그인하고 댓글 작성하기
루리웹 오른쪽
루리웹 유머
루리웹 뉴스 베스트
PC/온라인
비디오/콘솔
모바일

루리웹 유저정보 베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