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사 | 구독자 414명 | 구슬이 | 사사44주작센McHolic수히나

알쓰과학) 아~ 나는 맥주에 약해


img/23/11/08/18bae91fa4d5848a4.png





img/23/03/07/186b78db6742fed9c.png?icon=2724

"나는 맥주에 약해"

"나는 막걸리에 약해"




이런 얘기 많이 하죠.

분명히 체감하는 사실이기도 하고요.
그런데 정확한 이유는 다들 모릅니다.



그래서 알아봤습니다.

왜 그런 걸까.

무슨 관계가 있는 걸까!



술자리에서 나누던 속설들

그리고 인터넷 속 정보들

이걸 팩트체크 방식으로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ori/23/03/07/186b78bfbf32fed9c.gif?icon=2724

(항목별로 요약 있습니다)




<1. 맥주에는 소주보다 아세트알데히드가 많다.>


팩트!!

하지만?





이미지
(출처: [헬스조선] 소주엔 강한데, 유독 맥주에만 잘 취하는 나, 왜?)



주종별로 잘 취하고 덜 취하는 것

그걸 검색하면서 가장 먼저 보게 된 게 이 기사였습니다.

여기에선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취하는 건 아세트알데히드 때문이다.'

'맥주가 소주보다 많은 아세트알데히드를 함유하고 있다.'




일단 이 두 가지는 팩트입니다.




img/23/11/11/18bbd3019094d0d42.png?icon=2732




술(알코올)이 체내에 들어가면 아세트알데히드와 수소로 분해되며

아세트알데히드는 아세트산으로 대사됩니다.

이때 아세트산으로 대사되는 속도보다

아세트알데히드가 쌓이는 속도가 빠르면 취하게 되는 겁니다.




하지만 술의 아세트알데히드 함유량은 별로 중요하지 않습니다.




img/23/08/20/18a0e5328011cee29.png?icon=3041

으잉?!




위의 이미지에서는 5.2도짜리 맥주 1리터에

9~16mg의 아세트알데히드가 들어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5.2도짜리 맥주 1리터에 든 알코올이 무려 41.3244g입니다.




물론 알코올에는 종류도 많고,

알코올 중량 = 아세트알데히드 중량이라고 볼 수도 없습니다.

하지만, 그걸 무시해도 될 정도로

용량 차이가 크게 납니다.




요약하자면 이렇습니다.




술에 이미 들어있는 아세트알데히드보다

알코올 분해 과정에서 생성되는 아세트알데히드가 월등히 많다.

그렇기에 위의 가정은 신빙성이 없다.




역전재판의 폐해 | (백업)유머 게시판(2020-2021) | RULIWEB

땅땅땅!





<2. 증류주보다 발효주에 메탄올이 더 많다.>


팩트!!

하지만?




알코올은 크게 에탄올과 메탄올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메탄올이 체내에 들어가면 포름알데히드로 대사되고

양이 많을 경우 실명될 수도 있습니다.




몇몇 기사들에선 이 메탄올이 취기가 오래 가는 것, 숙취의 원인이라 말합니다.

메탄올이 에탄올보다 훨씬 독하고,

포름알데히드의 부작용과 숙취 증상이 비슷해서 그렇다 하죠.




그런데 여기에는 큰 오류가 있습니다!


역전재판같은 게임하는 기분이네요 : 클리앙

이기아리!!




술을 마셨을 때 우리 몸은

메탄올보다 월등히 많은 에탄올을 먼저 분해합니다.

그리고 분해되지 않고 남아있던 메탄올은 자연스레 배출되죠.




그렇기에 메탄올을 실수로 마셨을 때 독한 술을 마시라는 것입니다.




요약하자면 이렇습니다.





술에 들어간 메탄올은 극소량이다.

그런데 이 메탄올은 에탄올에게 새치기를 당해서 간에게 접근도 못 한다.

결국 간이 상대해주지 않은 메탄올은 그대로 배출된다.

그렇기에 위의 가정은 신빙성이 없다.




역전재판의 폐해 | (백업)유머 게시판(2020-2021) | RULIWEB

땅땅땅!





<3. 섞어 마시면 더 취한다.>

+ 댓글도 꼭 참고해주세요.


NO!!




쏘맥, 혹은 소주를 먹다가 맥주를 마시면 더 취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리고 서로 다른 술이 희석되면 더 독해진다고 하죠.



그러나, 알코올 분해 과정을 생각해볼 때

이건 신빙성이 없는 말입니다.



어느 기사에서는 이렇게 말하기도 합니다.




img/23/09/27/18ad2f4c875368079.jpeg?icon=3172


'알코올이 많이 흡수되는 건 소장이다.'

'그리고 탄산이 들어가면 위에서 장으로 넘어가는 유문이 빨리 열린다.'

'그래서 폭탄주가 빨리 취하는 것이다.'




언뜻 듣기엔 맞는 듯합니다.


img/23/08/17/18a03c948b7368079.jpeg?icon=3172




그런데 유문이 열린다고 위에 든 내용물이 한 번에 내려가는 건 아닙니다.




게다가 탄산에 의한 팽창이 없어도

유문은 계속 열렸다 닫혔다를 반복하며

위에 든 내용물을 조금씩 십이지장으로 넘기죠.




그리고 위에는 에탄올을 아세트알데히드로 바꾸는

알코올 분해 효소도 별로 없단 말이죠?




다시 말해서,

위에 술이 오래 있건 없건!

대부분의 알코올은 소장에서 혈액으로

여기서 또 대부분이 간으로 들어가서 분해되는 겁니다.




요약하자면 이렇습니다.




탄산이 안 들어가도 위의 내용물은 주기적으로 내려간다

위에는 알코올 분해 효소가 별로 없다.

결국 섞어 마시든, 위에서 섞이든, 흡수 속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 탄산에 대해선 댓글에 전문가 토끼풀님의 의견도 있으니 꼭 확인해주세요.)




역전재판의 폐해 | (백업)유머 게시판(2020-2021) | RULIWEB

땅땅땅!





<4. 그럼 우리는 왜 강한 술과 약한 술이 있다고 느낄까.>


이건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공통된 의견으로 나오는 말이 있습니다.




빨리 마셔서 빨리 취하는 것이다.









이게 뭔 펀쿨섹좌 같은 말이냐고 할 수도 있는데요.

'음용성이 좋을 경우 한 번에 섭취하는 알코올의 양이 많아진다.'는 겁니다.




img/23/12/23/18c923db0785848a4.png




음.

가정을 한 번 해볼까요?




꼬모가 오늘은 사사처럼을 마십니다.

한 잔을 가득 따라서 용기 충전을 외칠 때마다 4분의 1씩 마십니다.

여기서 한 잔에 든 알코올은 약 6.556g입니다.




꼬모가 오늘은 실론티 하이볼을 마십니다.

맛있고, 쓰지도 않아서 술술 들어갑니다.




ori/23/03/07/186b78d2ca52fed9c.gif?icon=2724




후원이 안 들어와도 혼자 홀짝홀짝 마시더니만,

결국 한 캔을 더 가져오겠다고 일어났습니다.

여기서 한 캔에 든 알코올은 약 27.814g입니다.




실론티 하이볼 한 캔에 사사처럼 약 4잔의 알코올이 들어있습니다.

5잔 째를 따를 때까지 걸리는 시간과 실론티 하이볼을 하나 더 까는 시간.

그걸 비교해보고 싶었는데... 실론티 하이볼 마신 날 영상 찾기가 힘드네요. 포기.




img/23/07/11/1894051ecfd1cee29.png?icon=3041

예시를 들면 뭐해 나 시키야.

증명이 안 되는데




그래도 제가 마실 때를 생각해도 납득이 가긴 합니다.




위에서도 말했던 것처럼

소주 한 잔에 든 알코올은 약 6.556g

반면에 맥주 한 잔에 든 알코올은 약 7.509g




거품 생각해서 살짝 뺐는데도 맥주가 조금 더 많습니다.

저는 맥주는 컵으로 마실 때 원샷하고

소주는 2분의 1 정도를 마시는 편입니다.




만약 맥주와 소주 한 잔에 든 알코올이 같아도

두 배 차이가 나는 셈이죠.

게다가 소주보다 맥주를 선호하다 보니

맥주를 마실 때는 다음 모금이 빨리 옵니다.




저는 맥주를 마시면 알코올을 더 빨리 섭취한다는 게 되는 거죠.




요약하자면 이렇습니다.




음용성이 좋으면 섭취가 빨라진다.

섭취가 빨라지면 알코올 대사 속도가 따라가지 못하게 된다.

결국 체내에 아세트알데히드가 많아져서 취하고 만다.



- - - - - - - - - - - - - -



나의 몸이 한 번에 얼마나 많은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할 수 있는가.

그게 관건이고, 음용성에 의해 한 번에 들어오는 알코올 양이 변한다는 게 결론입니다.





그러니까 이제 실론티 하이볼 마실 때 잔에 따라 마시자 꼬모


img/23/11/11/18bbd3019094d0d42.png?icon=2732


루리웹 오른쪽
루리웹 유머
루리웹 뉴스 베스트
PC/온라인
비디오/콘솔
모바일

루리웹 유저정보 베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