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로마 | 구독자 22명 | 프로코피우스 | Troubadour유스티니아누스 1세

오스트로고르스키의 비잔티움 제국사 속 낡은 사관들

비잔티움 제국사 자체는 동로마제국 입문서적으로 많이들 추천받는 서적이지만 이 서적 자체는 1950년대에 발간된 서적이기때문에 최근의 연구결과가 전혀 반영되지 않고 기존의 낡은 사관을 견지한다는 문제점이 있음. 이 문제점은 특히 11세기 이후의 동로마 제국을 다루는 부분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대표적인 부분 3가지만 짚어보려고 함.


1. 마누일의 친서방정책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


오스트로고르스키는 마누일의 친서방정책 및 서방과의 긴밀한 외교관계 형성에 대해 상당히 부정적으로 바라봄. '외견상의 영광의 시대에 이어 내적으로 붕괴해갔다.' 마누일의 시대를 마지막으로 서술한 이 문장에서 당시 오스트로고르스키가 마누일을 얼마나 부정적으로 바라보았는지가 드러남.


2. 안드로니코스 과대평가


반면에 단 1년여 만에 동로마를 말아먹은 안드로니코스에 대해서는 상당히 우호적인 모습을 견지함. 애초에 해당 챕터의 제목부터 '안드로니코스의 부흥시도'라고 못박았을 정도였으며 안드로니코스의 폭정 또한 '제국을 좀먹는 부패 귀족들과 싸우기 위해 그가 택한 어쩔 수 없는 방법'으로 평가할 정도로 안드로니코스를 굉장히 높게 평가함.


3. 미카일 8세에 대한 우호적인 평가


미카일 8세 역시 현재의 암군이라는 평가와는 달리 '마지막으로 동롬의 전성기를 이끈 군주'라고 평가함. 무리하게 어그로를 끌다가 역으로 제국에 큰 위협을 안겼고 간신히 시칠리아 만종 사건으로 위기를 넘긴 것을 오스트로고르스키는 '팔레올로고스의 천재적인 외교성으로 위기를 넘겼다'라고 평가함.

로그인하고 댓글 작성하기
루리웹 오른쪽
루리웹 유머
루리웹 뉴스 베스트
PC/온라인
비디오/콘솔
모바일

루리웹 유저정보 베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