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관 | 구독자 17명 | 큰읍내

아즈갈 맵 생성기에 대해서 알아들 봅시다

잠을 깊게 못자서 자다 깨고 그러는데요 날도 풀리고 선선하고 그런만큼 선선한 바람 느끼며 한번 맵 제네레이터 이용방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https://azgaar.github.io/Fantasy-Map-Generator/ 이것이 주소이고 

 

Cap 2021-09-05 04-14-21-108.jpg

 

접속하게 되면 아무렇게나 저렇게 맵이 뜹니다 

 

하지만 한글을 지원은 하는데 UI가 한글을 지원 안해요 그래서 다루기 힘들어들 하실 수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꺼리게 되는데 그점을 좀 완화 시켜봅시다 원래 세상에 뭔가를 작고 하찮은 거라도 이룰려고 하면 쉬운게 하나 없듯이 

 

이런 것도 차근차근 알아가면 창작 하시는데 도움은 되시겠죠

 

자 먼저 레이어(Layer) 기능에 대해서 알아 봅시다 

 

세계관 만드실때 이제 가장 선결 되어야 하는 요소 

 

1. 세계의 구축

2. 여러가지 이름 붙이기(길이나 국가, 지명 같은 것들)

 

이 중요하죠 가장 기본이 될 수 있겠죠?

 

Cap 2021-09-05 04-19-54-454.jpg

 

자 짤 보시면 왼쪽 상단 부분에 제가 빨강색으로 동글친 거 보이시죠 저기에 마우스를 가져다 대시면 New Map! 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걸 클릭 하시면 그냥 랜덤하게 새맵이 나옵니다 그건 그냥 기본 기능이구요 그냥 새로고침 기능이라고 보시면 되세요 그냥 새로고침 하셔도 되는 부분이구요 주의 하셔야 합니다

 

자 그러면 이제 본격적으로 한번 파헤쳐 봅시다

 

저 왼쪽 위의 화살표만 누르시면 아래와 같이 UI가 생성 됩니다

 

Cap 2021-09-05 04-23-52-836.jpg

 

표시할 맵의 무엇을 볼 것인지 선택 하게 되어 있죠?

 

Cap 2021-09-05 04-25-05-326.jpg

 

자 여기 보시면 레이어 프레셋에 여러종류가 있어요 

 

위로 부터 순번대로 

 

1. Political map : 각 나라의 범위를 표시 함

2. Cultural map : 각 문화권의 범위를 표시 함

3. Religions map : 각 종교의 세력권을 표시 함

4. Provinces map : 각 나라의 행정구분 범위를 표시 함

5. Biomes map : 식생대의 분포도를 표시 함

6. Height map : 고저차의 분포도를 표시 함

7. Physical map : 위도와 경도를 추가 표시 함

8. Places of Interest : 하천, 가도, 설정 되어 있는 스팟(광산이나, 등대, 화산 같은) 것을 표시 함

9. Pure Landmass : 백지 상태를 표시 함

 


Cap 2021-09-05 04-29-53-164.jpg

 

다음으로 디스플레이드 레이어 앤드 레이어 오더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일람에 있는 24가지의 항목에 대해서 표시 할 항목(레이어) 를 임의로 선택 할지 나타내는 표 입니다

왼쪽부터 오른쪽 그리고 상단부터 하단으로 

 

텍스쳐, 고저차, 식생대

셀, 그리드, 위도 경도

바람배치도, 하천, 지형

종교, 문화, 국가

주, 영역, 국경선

가도, 온도분포, 인구분포

강수량분포, 국가명, 길을 나타내는 점

주요 스팟, 정규 스케일바 

 

이렇게 나눠져 있어요

 


Cap 2021-09-05 04-35-57-795.jpg

 

자그리고 다음으로는 표시할 형식을 고를 수 있습니다 

 

통상대로 2D로 표시를 할려면 좌측이구요 

 

중앙은 3D로 좀 더 입체식으로 표시 하는 거구요 

 

우측은 지구본 스타일로 표시 하는 거에요

 

여기까지가 기본적인 외형 표시를 나타내는 기본 기능 되겠습니다 

 

정말 기본적인 설정 기능이죠

 

자 그다음 스타일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죠 

 

Cap 2021-09-05 04-40-07-112.jpg

 

레이어 오른쪽에 바로 스타일 항목이 있죠

 

Cap 2021-09-05 04-40-43-581.jpg

 

자 그럼 스타일 기본 프레셋을 알아 봅시다

 

1. 기본

 


Cap 2021-09-05 04-41-55-360.jpg

 

 

 2. 고전 

 

Cap 2021-09-05 04-42-15-195.jpg

 

 3. 음침한

 

Cap 2021-09-05 04-42-50-463.jpg

 

 4. 깔끔한 

 

Cap 2021-09-05 04-43-38-311.jpg

 

 

5. 단색 (고저차)

 

Cap 2021-09-05 04-44-01-285.jpg

 

 이렇게 취향에 맞추셔서 스타일을 지정 하실 수 있으세요

 

Cap 2021-09-05 04-45-13-451.jpg

 

자 그리고 다음은 레이어 요소의 투명도 조정 스크롤 입니다

 

1. : select. elemant 레이 요소의 선택 이구요 

30 종류의 요소가 선택 가능 하도록 되어 있어요 기본은 국가로 States(국가)로 맞춰져 있습니다

 

2. : Opacity 투명도 조정 입니다

슬라이더 움직여서 0~1 범위로 설정이 가능 하구요 0이 투명상태구요 1이 불투명 상태 입니다 

 

3. : Halo Width 경계선의 가장자리 폭을 나타냅니다

최소치와 최대치로 했을 경우의 차이 입니다

 

Cap 2021-09-05 04-48-47-716.jpg

 

경계선 부근의 색이 좀 다르죠

 

4. : Halo Opacity 경계선의 투명도를 나타냅니다 

 

자 그럼 아래짤 같이 선택해 봅시다 


Cap 2021-09-05 04-53-11-100.jpg

 

그리고 칼라박스를 클릭해서 새로운 색을 설정 합니다

 

Cap 2021-09-05 04-52-12-007.jpg

 

자 그러면 붉은색으로 바꾸니까 회색에서 붉은색 으로 색이 바뀌게 됩니다

 

Cap 2021-09-05 04-54-27-661.jpg

 

 

다음은 칼라 필터 기능 이에요


Cap 2021-09-05 04-56-35-783.jpg

 

네종류가 있죠 

 

Cap 2021-09-05 04-57-20-535.jpg

 

 

Cap 2021-09-05 04-57-32-029.jpg

 

 

Cap 2021-09-05 04-57-39-603.jpg

 

 

Cap 2021-09-05 04-57-46-193.jpg

 

대충 자기 취향에 맞게 선택 하시면 되시겠습니다

 

자 그리고 옵션 기능에 대해서 설명을 할까 합니다

 

Cap 2021-09-05 04-59-08-052.jpg

 

옵션은 카테고리가 2가지로 나눠져 있어요 

 

맵 셋팅과 제네레이터 셋팅 이렇게 두가지 말이죠 

 

맵 설정 편집 기능부터 알아 봅시다 

 

1. Canvas Size : 말 그대로 맵 사이즈에요 

 

주의 하실 점은 이 맵 제작 사이트 자체가 막 그렇게 고성능 컴퓨터를 요구하진 않아요 

 

그렇지만 아무래도 맵이 커질 수록 당연히 영향을 받기는 하겠죠 브라우저는 크롬 최적화 이구요 파폭에서도 잘 된다고 합니다

 

2. Map Seed : 랜덤 생성을 정의할 수치 입니다

주의 하실 점은 향후 더해진 변경 사항을 보존 할 수는 없기 때문에 반드시 저장을 하셔야 합니다 

 

3. Point Number : 이거는 그냥 건들지 마세요

 

4. Map Name : 지도 이름이에요 직접 입력 가능하시구요 저장 파일에 여기 적으신 이름으로 기재가 됩니다

 

5. Map Template : 맵 생성 템플 입니다 

 

향후에 따로 설명할 툴 메뉴에서 편집을 할 수 있습니다 

 

순서대로 설명을 드리자면 

 


Cap 2021-09-05 05-05-30-151.jpg

 

화산

산이 많은 섬

평지가 많은 섬

2개의 대륙

군도

환초(고리모양 산호초)

중앙에 바다가 있는 지대

반도가 있는 지대

팡게아

지협 지대 

조각난 상태 (군도보다 덜한)

 

6. Cultures number 생성 된 문화권의 수 입니다 

 

이것도 툴 메뉴에서 편집이 가능해요 

 

7. Cultures set 생성에 사용 될 문화권의 셋팅 이것도 템플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Cap 2021-09-05 05-09-51-830.jpg

 

보시면 유럽식일지 오리엔탈일지 영미권 일지 하이 판타지 다크 판타지 이런식으로 잡혀 있어요 

기본 셋팅에 불과하니까 좀 더 오리지날리티를 가미하실 분들은 깊게 생각지 않으셔도 되지 싶습니다

 

All-World에서 Antique 까지가 현실세계적인 느낌이구요 

하이 판타지와 다크 판타지는 말 그대로 판타지적인 세계겠죠

랜덤은 말그대로 랜덤생성 이구요 

 

8. State Number 생성 되는 국가의 수를 정합니다 

이것도 툴 메뉴에서 편집 가능 해요

 

9. Provinses retio : 주(州)의 비율이에요 각 고을을 나타내는 거죠 국가에 포함 되는 각 지역 영역을 나타낸다고 보시면 되시겠습니다

 

10. Size variety : 각 영역마다 얼마나 차이가 날지를 정하는 수치 입니다 수치가 낮을 수록 다들 균일하게 된다고 하네요 

거의 전체주의적인 타이트한 문화권이거나 지역 특색이 그만큼 사라지는 거죠 

 

11. Growth rate : 각 주의 문화가 생성시에 중립인 땅에 얼마만큼 확대 할지를 정의 하는 수치 입니다 

수치가 낮을 수록 많은 지역이 정치적으로 중립 상태임을 나타낸다고 하네요

 

12. Towns number : 생성 할 마을의 수를 나타냅니다 수도 이외의 거주구 말이죠 

공간이 충분하지 못 하면 생성에 한계가 생깁니다

 

13. Religions number : 생성 된 종교의 수를 나타냅니다 조직화 된 종교문화의 수만을 제어 합니다 

이것도 툴 메뉴에서 편집이 가능해요

 

 

자 이제 두번째 카테고리를 설명 들어갑시다 

 

Cap 2021-09-05 05-18-58-926.jpg

 

1. 온 로드의 동작 : 제네레이터를 여셨을 때 할일을 정의 합니다. 새로운 맵을 생성 하거나 이전에 만들어둔 맵을 자동적으로 엽니다

 

2. 인터페이스 사이즈 : GUI의 사이즈가 너무 작을 경우에는 브라우저의 줌 레벨 (컨트롤 + -)도 확인 하셔야 합니다

 

3. 툴 팁의 사이즈 : 화면 하부에 표시 되는 도움말 기능이죠 

 

4. 투명도 : 컨트롤 카테고리 투명도를 조정 합니다

 

5. PNG 해상도 : 저장 하실 PNG 파일의 사이즈를 정하는 거죠 1일 경우에는 다운 하신 이미지 해상도가 맵사이즈랑 같아요 

당연하게도 해상도는 저장 파일의 크기에도 영향을 크게 미치죠 컴퓨터 성능에도 말이죠 

 

6. 줌 범위 : 최소 최대 확대 레벨을 정합니다. 우측 버튼을 클릭해서 디폴트 값으로 돌릴 수 있습니다

 

 

마지막 카테고리 입니다

Cap 2021-09-05 05-24-41-686.jpg

 

 세계의 설정 과 기본으로 리셋 하는 버튼인데요 

 

모든 변경 사항을 취소할지 아니면 갱신을 할지 정하는 거죠 

 

설정 버튼을 누르시면 대륙과 기후의 지도의 위치를 설정 할 수 있습니다. 강수량 혹은 온도 레이어를 키거나 구성의 변경이 맵에 끼칠 영향을 확인 할 수 있죠

 

미리보기 기능이라고 보시면 되시겠어요

 

Cap 2021-09-05 05-27-16-994.jpg

 

보시면 이렇게 표시가 됩니다

 

Cap 2021-09-05 05-28-01-153.jpg

 

자 행성의 건피그 화면을 해설해 봅시다 

 

좌측 부터 각 패러미터를 상기부터 순서대로 

 

적도온도 

 

북극온도 

 

맵 사이즈 

 

위도

 

강수량 

 

이렇게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아랫목에 다섯가지의 버튼이 있죠

 

Cap 2021-09-05 05-30-09-280.jpg

 

왼쪽부터 나열 

 

Whole World 맵 사이즈를 100으로 위도를 50으로 하는 거에요 

 

Northern 위도 수치를 25로 합니다 (북반구 설정)

 

Tropical 위도 수치를 50으로 합니다 (중앙을 적도가 지나가는 설정)

 

Southern 위도 수치가 75로 합니다 (남반구 설정)

 

바람의 방향을 되돌립니다

 

바로 자동 갱신이 되서 적용이 됩니다 

 

여기까지가 굉장히 기본적인 설정이었구요 

 

툴 메뉴에 대한 설명은 좀 더 깊게 들어가야 해요 굉장히 양이 많습니다

 

그런데 보시면 아시겠지만 그냥 지역과 국가 특색 같은 일반적인 것만 설정을 하시려면 

 

위에 항목들만 어느정도 아셔도 충분하죠 

 

문화권이나 그런 것 까지 세밀하게 설정을 할 필요는 없죠 본인들 께서 이제 스스로 참고하실 용도로 

 

만들어 놓으시는 것일 경우에는 뭐 어느정도 기분이 있어야 안 잊어버리시니까 필요하시더라도 

 

다른 사람들 참고용이면 그렇게 세밀 하게 표시 안 하셔도 됩니다

 

솔직히 날씨 같은 설정까지 할 필요가 있나 싶어요 그냥 온대 냉대 이렇게만 알아도 되니까요

 


로그인하고 댓글 작성하기
루리웹 오른쪽
루리웹 유머
루리웹 뉴스 베스트
PC/온라인
비디오/콘솔
모바일

루리웹 유저정보 베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