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궁루리 | 구독자 471명 | _남궁루리 | 세리아츠유나제씨종신

5.20 방송 원신 피드백

방송중에 따로 언급드리긴 애매하거나 분량이 좀 긴것들 위주로

간단하게 피드백하겠습니다.


1) 아를레키노 운용법


img/24/05/20/18f965bc42248e74c.png

전에 아를레키노 기본 운용법을 설명드린 이후로

강공격을 활용한 핏값 회수 및 생명의 계약 부여는 익히셨지만,

사실 아를레키노의 딜 방식은 강공이 아니라 평타입니다.

E 사용 후 강공격을 통해 생명의 계약을 확보하면, 그 이후는

평타를 이용한 딜링을 해주시면 됩니다.



img/24/05/20/18f965d5dbc48e74c.png

아를레히히의 비문학지문을 잘 읽어보면 

피해증가가 적용되는 것은 일반공격입니다.

그리고 아를레히히는 강공격이후 비행모션이 출력되는데,

이는 설계부터가 강공격을 반복하는 딜러가 아닌 평타사이클 딜러기 때문입니다.



img/24/05/20/18f965efdbd48e74c.png

그리고 Q를 자주 사용하시는데, 아를레히히의 Q는

주위에 쌓여있는 핏값을 모두 회수하고 생명의 계약도 초기화됩니다.

E의 쿨타임이 바로 초기화되는 것을 활용해 Q를 사용한 이후에는

바로 E를 사용해 다시 생명의 계약을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일반필드에서 이동시 아를레키노는 대시하는것보다

강공격이후 비행이 더 빠르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2) 파티구성 및 교체플레이


방송 중 훈수를 통해 레일라 및 리넷과의 교체플레이를 익히셨습니다.


방송에서 하신대로 E, Q를 사용하고 메인딜러인 아를레키노로 교체하는게 핵심이지만

한가지 더 팁이 있다면, 리넷 역시나 생각날때마다 E를 사용해주시면 파티의

원소충전에도 도움이되고, 리넷의 Q도 더 자주 사용할 수 있습니다.



img/24/05/20/18f966764a848e74c.png

리넷의 Q는 모자를 소환해 제법 넓은 범위에 도발과 딜을 넣습니다.

현재 마망의 파티구성 및 스토리 진행에서는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img/24/05/20/18f966bd97948e74c.png

레일라의 E 쉴드는 현재 종려를 제외하면 유일하게 조건없이 가동률 100%가 가능한 쉴드입니다.

지속시간과 쿨타임이 딱 맞아떨어지기에 바로바로 리필할 수 있습니다.



img/24/05/20/18f966d203548e74c.png

레일라의 E는 사용 후 일정시간마다 스택(쉴드 위의 마름모)가 쌓입니다.

4스택이되면 주위에 얼음원소공격을 날립니다.


img/24/05/20/18f966d723848e74c.png

레일라의 Q 역시나 주위의 적에게 얼음원소 공격을 날립니다.

피해량은 미비하지만 아주 중요한 포인트인데,


img/24/05/20/18f966f35cf48e74c.png

얼음원소가 부착된 적에게 불원소 공격을 할 경우 피해량이 증폭됩니다.

물론 아를레히히는 원소반응을 완전히 활용하기힘든 연타딜러지만

치다보면 가끔 딜이 두배씩 들어가는것은 충분히 좋은 포인트입니다.


파티의 나머지 한 자리는 현재 엠버가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엠버가 필요한 활, 불 기믹은 이나즈마부터 현저하게 줄어듭니다.

따라서 이후의 스토리 진행에서는 엠버를 굳이 파티에 넣을 필요가 없습니다.


첫 번째로 추천드리는 캐릭터는 중운입니다.

우선 필드에서 바위원소쉴드 및 광석을 위해 양손검 캐릭터가

파티에 필요합니다. 현재 보유중이신 양손검은 도리, 프레미네, 중운이 있는데

이중에서 중운이 서포터 및 서브딜러 포지션에 가장 적합합니다.



img/24/05/20/18f9674260c48e74c.png

중운의 E 스킬은 넓은 범위의 장판을 소환합니다. 이 장판위에서는

근접무기의 일반공격이 모두 얼음원소공격으로 변환되는데,



img/24/05/20/18f966323ae48e74c.png

아를레히히는 신캐답게 자신의 불원소부여가 우선시됩니다. 

따라서 얼음원소 부여는 무시하셔도 됩니다.



img/24/05/20/18f9675b7bb48e74c.png

중요한 점은 중운의 E 장판위에서는 근접무기의 공격속도가 8% 상승합니다.

약소한 수치지만 제법 체감됩니다. 



img/24/05/20/18f9677923948e74c.png

중운의 Q는 심플한 얼음속성 딜기입니다.

그냥 Q 쿨돌았을때 아를레히히로 불원소를 부착한

적에게 쓰면 제법 괜찮은 딜이 나옵니다.


두 번째로 추천할 캐릭터는 베넷입니다.

현재 아를레키노 세팅에서 거의 빠지지않는 캐릭터고

4성 캐릭터 부동의 원탑입니다.



img/24/05/20/18f967ab94e48e74c.png

Q의 아이콘 및 이펙트로 인해서 따봉맨이란 별명이 있습니다.

저 따봉은 힐장판+공격력버프 장판인데,

두 수치 모두 현재 게임내 최상위권의 버프입니다.


img/24/05/20/18f967b8cda48e74c.png

아쉬운점은 이 따봉이 툴팁의 설명대로 체력 70% 이상의 캐릭터에게만

공격력 버프가 들어간다는 점입니다.



img/24/05/20/18f967c78d848e74c.png

대다수의 유저들이 이미 베넷의 돌파가 진행되었고, 

돌파시점이 하도 예전이라 그랬나? 싶겠지만

체력조건없이 공격력버프가 주어지는건 1돌파 이후입니다.


그리고 아를레히히는 전투중에 힐을 받을 수 없습니다.

원래는 베넷의 힐로 금방 70%이상 회복하고

공격력 버프를 유지하지만, 아를레히히는 제법 까다롭습니다.


물론 Q의 회복과 레일라의 E 쉴드를 통해 체력유지에 신경쓴다면

베넷은 확실히 최고의 버프량을 자랑합니다.

그리고 가끔 사고났을때처럼 급하게 힐이 필요할때도

폭발적인 힐량은 엄청난 메리트입니다.


쓰다보니 생각난점인데, 그냥 리넷도 빼면됩니다!

현시점에서도, 나중에 세팅이 갖춰진 이후에도

리넷은 딱히 고평가받지 못합니다.



img/24/05/20/18f968175da48e74c.png

추천 조합은 다음과 같습니다.


원신의 파티편성에는 원소공명이라는 시스템이 존재합니다.


img/24/05/20/18f96822d3d48e74c.png

같은 원소의 캐릭터가 둘 이상 있을 경우 

특정한 버프가 제공됩니다.


불과 얼음 모두 공격력과 치명타 확률을 제공해주는

최고의 원소공명입니다. 그리고 같은 원소 캐릭터의 스킬은

원소충전 효율이 더 좋습니다.


사족으로, 베넷과 중운 모두 오픈캐릭터인 만큼,

돌파재료의 수급이 용이합니다.


3) 아를레히히 돌파


슬슬 40레벨의 아를레히히로는 한계가 존재하는 타이밍입니다.


img/24/05/21/18f9685334848e74c.png

아를레히히의 돌파재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img/24/05/21/18f9685df6848e74c.png

필드보스 재료는 이 골렘군단장을 잡으면 드랍됩니다.

폰타인 워프를 여셨고 월드퀘스트의 초반 도입부만 진행하면

맵이 해금되므로 현재 진행상황에서도 문제없습니다.


필드보스가 조금 강한편이지만, 다인모드를 잠깐 켜시거나

그냥 때리다보면 잡을 수 있습니다. 



img/24/05/21/18f96879e7c48e74c.png

무지개장미는 폰타인 특산물입니다.

여기저기 좀 흩어진 편이라 귀찮지만,

반대로 별도의 월드퀘스트나 지역해금을 위한

밑작업 필요없이 조금 돌아다니면

충분한 양을 수급할 수 있습니다.


원신의 특산물은 다인모드마다 각각 존재하므로,

NGK들의 월드에 입장하시면서 수급하시면

하루만에 모두 모을 수 있습니다.


이상입니다. 조금의 훈수로 마망도 더 즐기실 수 있는

원신방송이 되길 기원합니다!

로그인하고 댓글 작성하기
루리웹 오른쪽
루리웹 유머
루리웹 뉴스 베스트
PC/온라인
비디오/콘솔
모바일

루리웹 유저정보 베스트